728x90

칸 영화제를 거쳐 국내에서 처음 시사회를 가진 '마더'를 드디어 보게 됐습니다. 상영 개시 시간은 20일 오후 4시30분이었지만 어찌나 사람이 많이 왔는지 5시가 넘어서야 영화가 시작되더군요. 물론 그 정도는 충분히 기다릴만한 영화였습니다.

개략적인 스토리는 이미 꽤 알려졌습니다. 한 시골 읍내에서 약재상을 하는 어머니(김혜자)는 좀 모자란 아들 도준(원빈)을 데리고 혼자 살아갑니다. 어느날 동네에서 여고생이 잔혹하게 살해되고, 도준이 용의자로 체포됩니다.

상황은 별 의심의 여지 없이 도준이 진범이라는 주장을 확인하는 쪽으로 흘러가고, 도와줄 사람 하나 없는 어머니는 혼자 애를 태웁니다. 한편으로는 여전히 얼떨떨한 도준에게 그날의 기억을 되새기라고 촉구하고, 한편으로는 백방으로 뛰어 다니며 단서를 찾아 다닌 끝에 어머니는 뭔가 사건의 실마리를 풀기 시작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영화의 대략 줄거리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나서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은 - 누구라도 그렇겠지만 - 봉준호 감독의 대표작인 '살인의 추억'과의 유사점입니다. 어느 지방 소읍에서 생긴 살인사건을 다루고 있고, 살인사건에 그리 익숙지 않은 시골 형사들은 여러 차례 시행착오를 벌입니다. 그리고 용의자로 몰린 도준의 모습에서는 아무래도 '살인의 추억'의 백광호가 떠오르죠.

박노식이 연기한 백광호가 누군지 모르시겠다구요. '향숙이'라고 해야 아시려나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원빈이라는 당대의 미남 스타가 연기해서 그렇지, 이 영화에서의 도준은 딱 "향숙이 예쁘다"라는 대사가 입에서 나오는 게 정상일 모습입니다.)

이런 의도적인 유사성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아직 제대로 설명된 적이 없습니다. 왜 그렇게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대다수 관객들이 '살인의 추억'을 봤다고 가정하면 많은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실제로 '마더'에서는 도준이 체포된 뒤의 신문 과정이나 수사 과정, 현장 검증 등이 하이라이트처럼 지나갑니다. 그 과정이 대략 어떻게 진행됐는지는 '살인의 추억'을 본 관객이라면 안 봐도 본 듯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부는 약간 느슨합니다. 도준과 좀 못된 친구 진태(진구), 그리고 도준 어머니를 그냥 '어머니'라고 부르는 형사 제문(윤제문)의 관계를 설명하고 설정하는 데 좀 긴 시간이 소요되는 셈이죠.

마침내 사건이 벌어져도 관객의 궁금증은 쉽게 해소되지 않습니다. 이 대목에서 다시 봉준호 감독의 칼끝은 급소를 한방에 찌르지 않고 슬슬 변죽을 울리죠. 마침내 어머니가 사건 해결에 발벗고 나설 때부터 영화는 박진감있게 성큼성큼 진행되지만, 그 전까지의 진행에는 전에 없던 군더더기가 몇군데 보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지만 일단 다른 얘기부터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 영화는 배우들의 연기, 잘라 말하면 김혜자 여사의 연기를 빼놓고 도저히 얘기할 수가 없을 정도입니다. 아무래도 이 배우에 대해 대다수 한국 관객들이 갖고 있는 인상은 때로는 인자하고 정 많은, 때로는 지치고 피곤한 어머니의 모습일 겁니다. 그런 그가 이번엔 '무제한의 사랑에서 오는 광기'를 연기합니다.

아마 누구도 김혜자라는 배우의 눈에서 이렇게 이글이글 타오르는 광기를 볼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지는 않았을 겁니다. 그것 하나만으로도 '마더'라는 영화는 세상에 나올 가치가 있었다고 얘기할 만 합니다.

영화는 김혜자의 1인무(춤)로 시작해 역시 춤추는 김혜자에게서 끝납니다. 두 춤 모두 아주 아름답다고 할 수는 없지만, 가슴에 사무치는 무언가(無言歌)를 느끼게 합니다. 과연 어머니는 자식을 위해 어떤 일까지 할 수 있을까. 도대체 모자간이란 어떤 사이길래 어머니를 이런 광기 어린 모습으로 이끌 수 있을까.

(봉준호 감독이 영원히 안고 갈 것으로 보이는 80년대 운동권 문화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당시 한국 운동권에서 가장 강력한 투쟁력을 갖고 있는 단체는 바로 민가협(民家協),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였습니다. 네. 바로 구속-수감된 양심수들의 어머니들이 주축이 된 단체였죠. 그 위력이 어땠을 지는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겁니다. 그리고 어쩐지 이 영화에서도 그 시절의 느낌이 묻어난다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아무튼 김혜자가 연기하는 압도적인 어머니 상 때문에 이 영화는 교향곡이 아니라 김혜자 한 사람과 영화의 나머지 모든 요소가 협연하는 협주곡처럼 보입니다. 원빈과 진구도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지만 이 영화에서는 굳이 뭘 한다고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보이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직전의 두 히트작, '살인의 추억'과 '괴물'에 비해 '마더'는 좀 다른 느낌을 갖게 합니다. '살인의 추억'은 화성 연쇄살인사건을 수사하는 두 형사의 고생담을 통해 80년대라는 시대의 한국을 담아냈습니다. '괴물' 역시 괴물 사냥이라는 소재를 통해 한미관계와 정치권에 대한 불신을 풀어낸 영화였죠. 두 영화 모두 겉으로 보이는 것과 속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것 사이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었고, 그만큼 영화는 풍부한 상징과 은유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그래서 영화 마니아들은 그런 상징의 의미 찾기로 숨바꼭질을 하는 재미를 누릴 수 있었죠.

하지만 '마더'는 이 두 편의 영화에 비해 훨씬 직설적입니다. 더 이상 말하고자 하는 바를 감추지 않겠다는 기색이 역력합니다. 골프장과 골프 클럽의 등장이나, 술자리에서 어머니에게 자신의 영향력을 자랑하는 공 변호사의 장광설은 사실 지금까지의 봉준호 감독이 보여준 '은근한 비판'과는 좀 다른 방법입니다. 이 영화가 보여주는 사회 지도층에 대한 불만은 너무 노골적이고, 그런 의미에서 과연 영화의 진행상 저 장면이 꼭 필요할까 싶은 장면들이기도 합니다.

영화의 만듦새를 하나 하나 뜯어보자면 참 우아하고 날렵합니다. 대가의 솜씨가 분명합니다. 그런데 자꾸만 '살인의 추억'과 비교해 보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일 것입니다. 보고 있으면 송강호의 공백이 아쉽게 느껴지는 부분이 분명히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살인의 추억'이 관객들을 상대로 막강한 위력을 뽐낸 데에는 두 가지 무기가 주효했습니다. 사건을 추적해 가는 과정에서의 긴박감과 수시로 터지는 어둡지만 효과적인 유머였죠. 하지만 이번 '마더'에서는 무겁게 침잠한 분위기에서 관객들을 쉴새없이 긴장하게 만드는 송강호 특유의 유머를 대신 날려 줄 배우가 없다는 점이 아쉽기만 합니다. 윤제문은 '비열한 거리' 이후 최강의 연기력을 갖춘 조연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이 영화에서는 어쩔 수 없이 그의 머리 위에 드리운 송강호의 그림자가 너무 무겁게 느껴집니다.

봉준호 감독에게 매번 더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라면 그것도 꽤 욕심일 듯 합니다만, '마더'는 놀라운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살인의 추억'에서 관객들이 느꼈던 아찔한 충격을 다시 주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살인의 추억'과 '추격자' 등을 통해 관객의 눈도 한참 높아진 탓일 겁니다. 과연 이 부분이 관객들에겐 어떻게 받아들여질 지도 궁금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쓰다 보니 벌써 꽤 길어졌습니다. 영화의 세세한 부분에 대한 글은 몇번 더 우려먹을 것이 있을 듯 합니다. 어쨌든 그래서 보란 말이냐 말란 말이냐는 질문을 하신다면 이렇게 대답하겠습니다.

[그래도 봉준호 감독의 영화를 직접 눈으로 보지 않는다면 '영화 보는 사람'이라고 어디 가서 얘기할 수 있겠습니까? 두번 보는 건 선택이겠습니다만.]

네. 얼른 보시고 나중에 다시 얘기하십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