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년 연말이면 진행되는 조용필의 예술의전당 공연 리뷰입니다.

2005년 연말 공연을 보고 쓴 글이니 벌써 세월이 참 흐를대로 흘렀군요.

한때 조용필은 '마마미아' 스타일의 공연을 마음먹고 있었지만 이미 그 욕심은 버렸다는군요. 하지만 그의 공연에는 여전히 뮤지컬의 향취가 풍깁니다.




[송원섭의 through*2] 두얼굴의 조용필

나의 작은 지혜로는 알수가 없네, 내가 아는 건 살아가는 방법뿐이야.
보다 많은 실패와 고뇌의 시간을, 비켜갈수 없다는걸 우린 깨달았네.

이제 그 해답이 사랑이라면, 나는 이 세상 모든 것들을 사랑하겠네.


-조용필, '바람의 노래' 중에서


몇해 전부터 조용필의 콘서트는 항상 2부로 나뉜다. 2부는 보통 가수들과 별로 다를 게 없지만 1부는 뮤지컬 스타일의 독특한 콘서트가 펼쳐진다.

한동안 '마마미아'(아바) '위 윌 록 유'(퀸)처럼 한 뮤지션의 노래들로만 채워지는 '가수 뮤지컬'을 제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던 조용필은 최근 "기존의 곡들을 죽 배열하는 식의 뮤지컬은 만들지 않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그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매년 갖는 연말 공연의 1부다.

올해 공연의 1부였던 '정글 시티'에서 고정된 캐릭터는 한 사나이(조용필)와 영원의 여인(이상은) 뿐이다. 캐주얼 러브가 판을 치는 도시 한 복판에서 지쳐가는 주인공은 문득 먼 기억의 저편에서 어린 시절 사랑했던 그녀를 떠올리고, 마침내 그녀를 찾아낸다는 것이 '정글 시티'의 줄거리다.

줄거리는 있으나 거의 모든 노래는 조용필 혼자 이끌어간다. '명성황후'의 주역이었던 이상은과 코러스, 어린이 합창단이 부분적으로 도움을 주지만, 가수 혼자 노래를 하면서 나머지 출연자들이 춤을 통해 스토리를 전달한다는 기본적인 형식은 빌리 조엘의 노래를 이용한 브로드웨이 쇼 '무빙 아웃(Movin' Out)'을 연상시킨다.

'무빙 아웃'은 무대 상단에 밴드와 가수(물론 빌리 조엘 본인은 아니다)가 위치하고, 하단의 배우들은 무용을 통해 1960년대에 고교를 졸업한 뉴욕 출신의 젊은이들이 어떻게 반항의 나날과 월남전의 상처를 딛고 세상과 화해하게 되는가를 연기한다. 물론 그 시대의 젊음을 노래에 담았던 빌리 조엘의 노랫말들이 나레이션 역할을 한다.

뉴욕에 '피아노 맨' 조엘이 있었다면 한국에는 조용필이 있었다. 가왕 조용필은 '추억 속의 재회' '눈물의 파티' '꿈' 등 주옥같은 노래와 노랫말을 통해 도시와 고독, 소외와 절망의 극복을 성공적으로 형상화했다. 특히 구원의 여인을 향해 부르는 노래, '이제 그 해답이 사랑이라면/ 나는 이세상 모든 것들을 사랑하겠네'라는 '바람의 노래'는 대체 한 가수가 이룰 수 있는 성취의 끝은 어디인가를 의심케 하는 찌릿한 전율이 객석에 차고 넘치게 했다.

1부 공연에서 하늘 위로 올라갔던 조용필은 2부 시작과 함께 지상으로 내려와 다시 팬들을 만났다. 범접할 수 없는 카리스마를 풍겼던 1부와는 달리 2부의 조용필은 때로 친근한 동네 아저씨처럼("밀지들 말어, 다쳐, 여기 상주 만들 일 있어?"), 아니면 옛날 그대로의 '오빠'처럼("아유, 알았다니까, 소리좀 고만 질러") 팬들을 품에 안았다. 그렇다. 그의 얼굴은 정확하게 두개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대 발길이 머무는 곳에' '못찾겠다 꾀꼬리' '정' '눈물로 보이는 그대' '미지의 세계' '잊혀진 사랑' '여행을 떠나요' '모나리자'... 불러도 불러도 끝이 없을 것 같은 히트곡의 퍼레이드는 마침내 앵콜곡 '단발머리'와 '돌아와요 부산항에' '자존심'으로 막을 내렸다. '감사합니다'라고 쓰인 막이 내려와도 팬들의 아우성이 끊기지 않자 조용필은 퇴장하는 밴드를 다시 불러세워 관객들과 함께 '친구여'를 합창했다.

문득 공연 전 조용필의 한마디가 떠올랐다. "욕심 같아선 전 공연을 1부처럼 하고 싶은데, 팬들 마음이 다 똑같지가 않아요. 어떤 노장 하나가 '난 허공 들으러 왔는데 지금 이게 뭐야' 하면 어떻게 할거야. 그분들 생각도 해야 돼요."

그러고 보니 '허공'은 없었다. '촛불'도, '물망초'도, '큐'도, '간양록'도, '킬리만자로의 표범'도, '그 겨울의 찻집'도 이날 공연에서는 들을 수 없었다. '미워 미워 미워'도, '비련'도, '아시아의 불꽃'도, '마도요'도 연주되지 않았다. 대체 이 노래들은 언제 다 들려주려는걸까. 문득 '그분'이 오래 오래 건강하시기를 바라는 나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어라, 그러고 보니 나는 '조빠'였구나.

송원섭 JES 기자
five@jesnews.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