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드라마 '인수대비'가 절정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중전 윤씨(전혜빈)는 아들을 빼앗기고 대비들과의 갈등이 극에 달해 정신을 잃을 지경이 됐고, 마침내 이번주 남편 성종(백성현)이 다른 후궁의 침소에 든 것을 참지 못해 달려들어 싸움을 벌이다 얼굴 손틉자국을 내게 됩니다.

'연산군의 어머니인 폐비 윤씨가 성종과의 사이가 원만치 못해 늘 싸움이 잦았고, 어느날 용안에 손톱 자국을 낸 것이 인수대비에게 알려지며 즉시 폐비에 처해졌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널리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정말로 남편인 임금의 얼굴에 상처를 냈을까요? 임금의 용안과 옥체는 그 무엇보다 귀중하게 여겨지던 것이 당시의 정서입니다. 아무리 제 정신이 아니었다고 해도 그런 일이 가능했을까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그런 기록은 분명히 있습니다. 게다가 임금이 폐비 윤씨를 때렸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말로만 전해지는 야사는 아닙니다.

아무튼 이럴때 가장 확실한 지침은 일단 조선왕조실록입니다. 성종실록에는 성종 10년, 1479년 6월2일 마침내 임금이 폐비를 결심한 내용이 전해집니다.

성종 105권, 10년(1479 기해 / 명 성화(成化) 15년) 6월 2일(정해) 1번째기사

전날 저녁 야대(夜對)를 파(罷)한 뒤에 임금이 급히 승지(承旨)를 불러 입내(入內)하도록 하더니, 조금 있다가 이를 중지시키고, 정승(政丞) 등을 불러 내일 이른 아침에 예궐(詣闕)하라고 명하였다. 이날 여명(黎明)에 영의정(領議政) 정창손(鄭昌孫)·상당 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청송 부원군(靑松府院君) 심회(沈澮)·광산 부원군(光山府院君) 김국광(金國光)·우의정(右議政) 윤필상(尹弼商)이 이르니, 임금이 선정전(宣政殿)에 나아가 인견(引見)하였는데, 승지·주서(注書)·사관(史官)이 모두 입시(入侍)하였다. 임금이 좌우(左右)를 돌아보고, 일러 말하기를,

“궁곤(宮壼)의 일을 여러 경(卿)들에게 말하는 것은 진실로 부끄러운 일이라 하겠다. 그러나 일이 매우 중대(重大)하므로 말하지 않을 수가 없다. 어제 입직(入直)한 승지(承旨)와 더불어 이를 의논하고자 하였으나, 생각하니 대사(大事)를 두 승지와 결단할 수 없으므로 이에 경들에게 의논하는 것이다. 옛사람이 이르기를, ‘선경 삼일(先庚三日) 후경 삼일(後庚三日)’이라고 하였으니, 내가 어찌 생각하지 않고 함이겠는가? 부득이하여서 그러는 것이다.

(선경삼일, 후경삼일이라는 것은 중대사일수록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얼마나 신중하게 결정한 것인가를 설득하는 과정입니다.)

지금 중궁(中宮)의 소위(所爲)는 길게 말하기가 어려울 지경이다. 내간(內間)에는 시첩(侍妾)의 방이 있는데, 일전에 내가 마침 이 방에 갔는데 중궁이 아무 연고도 없이 들어왔으니, 어찌 이와 같이 하는 것이 마땅하겠는가? 예전에 중궁의 실덕(失德)이 심히 커서 일찍이 이를 폐하고자 하였으나, 경들이 모두 다 불가(不可)하다고 말하였고, 나도 뉘우쳐 깨닫기를 바랐는데, 지금까지도 오히려 고치지 아니하고, 혹은 나를 능멸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이것은 비록 내가 집안을 다스리지 못한 소치(所致)이지마는, 국가(國家)의 대계(大計)를 위해서 어찌 중궁에 처(處)하게 하여 종묘(宗廟)를 받드는 중임(重任)을 맡길 수 있겠는가? 내가 만약 후궁(後宮)의 참소하는 말을 듣고 그릇되게 이러한 거조(擧措)를 한다고 하면 천지(天地)와 조종(祖宗)이 소소(昭昭)하게 위에서 질정(質正)해 줄 것이다. 옛날에 한(漢)나라의 광무제(光武帝)와 송(宋)나라의 인종(仁宗)이 모두 다 왕후(王后)를 폐하였는데, 광무제는 한 가지 일의 실수를 분하게 여겼고, 인종도 작은 허물로 인했던 것이지마는, 나에게 있어서는 그렇지 않다.

(다른 후궁의 침소에 왕이 들었는데, 그 침소에 중전이 나타났다는 이야기입니다. 조선시대 왕에게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죠.)


중궁의 실덕(失德)이 한 가지가 아니니, 만약 일찍 도모하지 않았다가 뒷날 큰 일이 있다고 하면 서제(噬臍)를 해도 미치지 못할 것이다. 예법(禮法)에 칠거지악(七去之惡) 이 있으나, 중궁의 경우는 ‘자식이 없으면 버린다.[無子去]’는 것은 아니다.”

하고, 드디어 ‘말이 많으면 버린다[多言去], 순종하지 아니하면 버린다[不順去], 질투를 하면 버린다[妬去]’라는 말을 외우고, 이어 이르기를,

“이제 마땅히 폐하여 서인(庶人)을 만들겠는데, 경들은 어떻게 여기는가?”

하였다. 정창손이 아뢰기를,

“이제 상교(上敎)를 받으니, ‘중궁이 실로 승순(承順)하는 도리를 잃어서 종묘(宗廟)의 주인을 삼는 것이 불가(不可)하다.’고 하였습니다. 상교가 이에까지 이르렀으니, 어떻게 하겠습니까?”

하고, 한명회가 이르기를,

“신(臣)은 더욱 간절히 우려(憂慮)합니다. 성상께서 칠거(七去)로써 말씀하시니, 신은 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다만 원자(元子)가 있어서 사직(社稷)의 근본이 되는데, 어떻게 하겠습니까?”

하였다. 윤필상이 아뢰기를,

“사세(事勢)가 이에 이르렀으니 어찌할 수가 없습니다.”

하고, 심회가 이르기를,

“태종(太宗)께서 일찍이 원경 왕후(元敬王后)와 화합하지 못하여 한 전각(殿閣)에 벽처(僻處)하게 하고 그 담장을 높게 하였는데, 이것이 선처(善處)하는 도리였습니다. 지금도 역시 별궁(別宮)에 폐처(廢處)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창손과 윤필상이 이미 임금의 뜻에 따르기로 결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한명회와 심회는 궁 밖으로 내치는 폐서인은 온당치 않다는 입장입니다. 뒤에 보면 정창손마저도 '궁 밖으로 내보내는 것은 무리'라는 주장을 합니다. 그만치 이 폐비는 파격적인 조치였던 것이죠.)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경들은 사의(事宜)를 알지 못한다. 한(漢)나라 성제(成帝)가 갑자기 붕어(崩御)한 것은 누구의 소위(所爲)였던가? 대저 부덕(不德)한 사람은 비의(非義)한 짓을 많이 행하는 것인데, 일의 자취가 드러나게 되면 화(禍)는 이미 몸에 미친 뒤이다. 큰 일을 수행(遂行)함에 있어 만약 일찍 조처하지 아니하였다가 만연이 된 뒤에는 도모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만일 비상(非常)한 변이 생기게 되면 경들이 비록 나를 비호하고자 하더라도 미치지 못할 것이다.”

(한나라 성제는 본래 여색을 밝혀 많은 얘깃거리를 남겼습니다. 그중에서도 당대의 미녀인 조비연, 조합덕 자매를 총애했다고 전해지는데 이들은 성총을 잃지 않기 위해 왕과 다른 궁녀가 동침하면 그 궁녀를 죽이고, 심지어 다른 후궁이 낳은 아이까지도 사라지게 하는 마수를 썼습니다. 그런데도 성제를 그런 악행을 모른체 했고, 이들은 성제의 비호 속에서 더욱 더 못된 짓을 저질렀습니다. 

결국 어느날 성제는 조합덕의 침소에서 죽은 채 발견됩니다. 두 자매가 성제를 죽일 이유는 전혀 없었지만 - 두 자매는 아이가 없어 황제가 죽으면 자신들의 권세도 끝나는 입장이었으므로 - 아무튼 황제가 죽은 뒤 사방에서 두 자매의 죄를 묻는 상소가 빗발치자 어쩔 수 없이 자결해 버리고 맙니다.

이쯤 되면 성종이 중전 윤씨에 대해 갖고 있던 생각은 이미 정나미가 떨어지는 정도가 아니라, '저것을 곁에 두었다가는 내가 비명횡사할지도 모르겠다' 수준까지 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하였다. 도승지(都承旨) 홍귀달(洪貴達)이 아뢰기를,

“중궁의 실덕한 바가 가볍지 아니하니, 진실로 이를 폐하는 것이 마땅하겠습니다. 그러나 원자를 탄생(誕生)하였고 또 대군(大君)을 나았으므로 국본(國本)에 관계되는 바이니, 폐하여 서인으로 삼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청컨대 위호(位號)를 깎아 내리어 별궁(別宮)에 안치(安置)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원자는 장차 세자(世子)로 봉(封)할 것인데, 어머니가 서인이 되면 이는 어머니가 없는 것이니, 천하(天下)에 어찌 어머니 없는 사람이 있겠습니까?”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강봉(降封)을 하면 이는 처(妻)로써 첩(妾)을 삼는 것이니 크게 옳지 못하다.”

하였다. 좌부승지(左副承旨) 김계창(金季昌)이 아뢰기를,

“중궁은 명(命)을 중국 천자(天子)에게 받아서 이미 위호(位號)가 정당하고 원자를 탄생하였으며, 또 국본이 되어 관계된 바가 매우 중하니, 갑자기 폐하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옛날 송(宋)나라 인종(仁宗)은 곽후(郭后)를 폐하여 옥청궁(玉淸宮)에 두었으니, 원컨대 별궁에 옮겨 두고서 그 허물을 뉘우치기를 기다리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만약 그렇다고 하면 전일(前日)의 일도 경계할 줄 알아야 할 것이다. 근자(近者)에 또 그 침실(寢室)을 따로 하고 자신(自新)하기를 바랐으나, 그래도 고치지 아니하였는데, 능히 허물을 뉘우치겠는가? 만일 허물을 뉘우칠 기미가 있다고 하면 내가 어찌 감히 폐한다고 하겠는가?”

하였다. 좌승지(左承旨) 김승경(金升卿)이 아뢰기를,

“중궁이 전에도 잘못된 행동이 있어서 성상께서 이를 폐하고자 하였으니, 또한 조금이라도 반성하는 것이 마땅한데, 또 오늘과 같은 일이 있었으니, 뒷날 반드시 이것이 습관이 되어 잘못된 일을 할 것이므로, 한 나라의 모의(母儀)로서는 불가(不可)합니다.”

하고, 우승지(右承旨) 이경동(李瓊仝)이 아뢰기를,

“모후(母后)를 폐치(廢置)하고 어찌 경이(輕易)하게 사제(私第)로 돌아가게 하겠습니까? 더욱 미안(未安)한 일이 되겠습니다.”

하고, 우부승지(右副承旨) 채수(蔡壽)가 아뢰기를,

“성상의 하교(下敎)가 이러하니 신자(臣子)로서는 그 사이에서 감히 무어라고 말할 수가 없습니다.”

(요즘 드라마에 출연하고 있는 채수는 이렇게 폐비에 찬성해 간신으로 보이기도 합니다만, 뒷날 '폐비 윤씨가 어렵게 살아가고 있으니 물자를 대 주어야 한다'고 주장해 성종의 분노를 사 고문까지 당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소신이 강한 사람이었던 듯.)


하였다. 임금이 승지들에게 이르기를,

“출궁(出宮)시킬 여러가지 일을 차비하도록 하라.”

하니, 홍귀달·김승경이 아뢰기를,

“모든 일은 이미 갖추었습니다. 그러나 중궁은 이미 한 나라의 모의(母儀)로 있었는데, 사제(私第)로 돌려보내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하고, 김계창이 이르기를,

“모시던 귀빈(貴嬪)이 비록 죄고(罪辜)에 저촉되었다 하더라도 오히려 사제로 돌려보내지 아니하는데, 하물며 왕비(王妃)이겠습니까? 원컨대 그대로 두고 여러 번 생각하소서.”

하니, 임금이 성을 내어 이르기를,

“경들은 출궁할 여러가지 일만 주선하면 그만인데, 무슨 말이 많은가?”

하였다. 정창손이 이르기를,

“이미 폐했는데, 어찌하여 반드시 다시 견책(譴責)을 가(加)하는 것입니까? 하물며 이미 중궁이 되어 한 나라의 모의가 되었고, 또 원자를 탄생하여 나라의 근본이 되었는데, 하루아침에 강등을 시키어 서인을 만들어 사제로 돌아가게 하면, 사론(士論)이 어떻하겠습니까? 청컨대 별전에 폐처(廢處)케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별전에 두면 따로이 견책하는 뜻이 없다. 만약 그 아들이 주기(主器)가 되면 마땅히 추봉(追封)할 것인데, 지금 서인을 만드는 것이 어찌하여 무엇이 상하겠는가?”

하였다. 심회가 말하기를,

“별전(別殿)에 폐처하는 것이 사제(私第)에 돌려보내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원컨대 다시 여러 번 생각하소서.”

하고, 윤필상이 이르기를,

“별전에 안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어찌 별전을 새로 건립하겠는가? 정승(政丞)들은 나가도록 하라. 내 뜻이 이미 정해졌으니, 결단코 고칠 수가 없다.”

하였다. 정승과 승지들이 그래도 계속하여 다시 생각하기를 청하니, 임금이 성을 내어 일어서면서 이르기를,

“경들이 물러나지 아니하면 내가 마땅히 안으로 들어가겠다.”

하고, 또 내관(內官)에게 명하여 승지를 불러 나가도록 재삼 말하니, 이에 모두 다 나갔으나, 홍귀달·김승경·이경동·김계창만이 머물러 나가지 아니하고, 다시 요청하다가 오래 되어서 나갔다. 얼마 있다가 중궁이 소교(小轎)를 타고 나가서 사제로 돌아 갔다.

(시일을 두지도 않고 당일 곧바로 폐비가 집행된 것입니다. 하지만 승지들은 굴하지 않습니다. 왕의 진노에도 굴하지 않는 선비들의 정신이 볼만합니다.)

홍귀달 등이 차비문(差備門) 안에 나아가 다시 아뢰기를,

“신(臣) 등이 반복하여 생각해 보니, 후궁이 비록 죄가 있어 견책(譴責)을 당하더라도 오히려 사제로 돌려보내지 아니하는데, 하물며 왕비이겠습니까? 이미 중궁의 정위(正位)가 되었고, 또 원자를 탄생하였는데, 이제 여염(閭閻)에 거처하면 소인(小人)들이 성음(聲音)을 접할 수 있을 것이니, 이는 매우 옳지 못한 것입니다. 청컨대 자수궁(慈壽宮)에 처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전교(傳敎)하기를,

“사제에 폐거(廢居)하게 되면 모자(母子)가 서로 보는 것도 또한 인정(人情)에 기뻐하는 바이다. 그대들이 만약 혹시 다시 아뢰면 장차 대죄(大罪)를 가할 것이다.”

하였다.

홍귀달 등이 이르기를,

“우리 조정에서는 조종(祖宗) 이후로부터 이러한 일이 있지 아니하였으니, 후세(後世)에 반드시 오늘날의 일로써 법을 삼을 것입니다. 청컨대 경솔하게 거행하지 말고 다시 대비(大妃)께 아뢰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신이 비록 죄를 받는다 하더라도 차마 생각하고 있는 바를 말하지 않겠습니까? 오늘의 거조는 오직 신 등과 정승만이 알고, 외정(外庭)에서는 모두 다 알 수 없었으니, 청컨대 군신(群臣)을 임석(臨席)시켜 교서(敎書)를 반포(頒布)하고 종묘(宗廟)에 고한 연후에 폐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옛날 세종(世宗)께서 김빈(金嬪)을 폐할 때에도 오히려 교서를 반포하였는데, 하물며 왕비이겠습니까? 다만 전지(傳旨)만을 내리는 것도 예(禮)에 합당하지 못한 듯합니다. 종묘에도 오히려 고해야 하는데, 지금 대왕 대비(大王大妃)가 위에서 계시니, 더욱이 품(稟)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교서(敎書)를 반포하고 종묘에 고하는 것은 아뢴 바가 마땅하다. 중궁의 정위는 길사(吉事)이었는데도 내가 오히려 군신을 참여시키지 아니했는데, 하물며 이러한 흉사(凶事)이겠는가? 권정례(權停禮)로써 행하도록 하라. 또 동부승지(同副承旨) 변수(邊脩) 외에는 모두 다 옥(獄)에 가두게 하라.”

하였다. 정승 등이 빈청(賓廳)에서 아뢰기를,

“승지들의 계옥(繫獄)은 무슨 일입니까?”

하니, 전지하기를,

“이미 정승들과 더불어 의논해 결정하였는데, 승지들이 오히려 대비(大妃)께 아뢰기를 청하였으니, 이는 다른 것이 아니고 윤씨(尹氏)를 구제하려는 것이다.”

하였다. 정창손·한명회가 아뢰기를,

“승지들이 무슨 다른 뜻이 있었겠습니까? 오늘은 일이 많으니 우선 용서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전교하기를,

“승지들이 대비께 아뢰기를 청한 것은 대비로 하여금 이를 중지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내가 이미 두 번이나 아뢰었더니, 대비께서 하교(下敎)하기를, ‘내가 항상 화(禍)가 주상(主上)의 몸에 미칠까 두려워하였는데, 이제 이와 같이 되었으니, 나의 마음이 편안하다.’ 하였으니, 남의 자식 된 자가 부모(父母)로 하여금 그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 또한 옳지 않겠는가? 또 이는 이 한 집안의 정사이니, 내가 처치(處置)하는 데에 달려 있을 뿐이다. 대비께서 어찌 그릇되게 여기겠는가? 승지들은 육조(六曹)의 참의(參義)로 개차(改差)하도록 하라. 하였다.

일단 이날의 기록은 여기까지. 어쨌든 임금이 죄를 주겠다, 옥에 가두겠다고 협박을 해도 승지들은 '아닌 건 아닌 것'이라고 직간을 합니다.

 

 

조선시대에 대해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습니다만, 왕조실록을 보다 보면 이 직간의 문화만큼은 누가 뭐래도 부정할 수 없는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임금이 죽음으로 협박을 해도 당시의 사대부들은 자신의 소신과 맞지 않으면 '그렇지 않다'고 정면에서 맞섰습니다.

임금은 고사하고 한낱 상사들의 눈치나 보는 요즘의 소시민들이 보기엔 참 대단한 기개가 아닐 수 없습니다. 물론, 이런 직언에 귀를 기울였던 당시의 왕들 역시 요즘의 윗사람들보다는 훨씬 행복했을 겁니다. 잘못을 저질러도 다른 사람들이 고쳐주지 않는 것만큼 위험한 일도 없겠죠.

어쨌든 아무리 실록을 훑어봐도 '윤비가 임금의 얼굴에 상처를 냈다'는 내용은 없습니다. 일설에는 '왕이 윤비를 때렸다'는 내용이 전해진다고도 하는데 이건 3일 뒤인 6월5일, 6월2일의 회의 때 없었던 백관들 앞에서 임금이 '너희들이 몰라서 그러는데 윤씨의 죄가 한두가지가 아니다'라고 털어놓는 과정에서 나오는 말입니다.

중요 부분만 발췌하면 이렇습니다.

지난 정유년에 윤씨(尹氏)가 몰래 독약(毒藥)을 품고 사람을 해치고자 하여, 건시(乾柿)와 비상(砒礵)을 주머니에 같이 넣어 두었으니, 이것이 나에게 먹이고자 한 것인지도 알 수 없지 않는가? 혹 무자(無子)하게 하는 일이나, 혹 반신불수(半身不遂)가 되게 하는 일, 그리고 무릇 사람을 해(害)하는 방법을 작은 책에 써서 상자 속에 감추어 두었다가, 일이 발각된 후 대비께서 이를 취하여 지금까지도 있다. 또 엄씨(嚴氏) 집과 정씨(鄭氏) 집이 서로 통하여 윤씨(尹氏)를 해치려고 모의한 내용의 언문(諺文)을 거짓으로 만들어서 고의로 권씨(權氏)의 집에 투입(投入)시켰는데, 이는 대개 일이 발각되면 엄씨와 정씨에게 해가 미치게 하고자 한 것이다. 항상 나를 볼 때, 일찍이 낯빛을 온화하게 하지 않았으며, 혹은 나의 발자취를 취하여 버리고자 한다고 말하였다. 비록 초부(樵夫)의 아내라 하더라도 감히 그 지아비에게 저항하지 못하는데, 하물며 왕비가 임금에게 있어서이겠는가? 또 위서(僞書)를 만들어서 본가(本家)에 통하여 이르기를, ‘주상(主上)이 나의 뺨을 때리니, 장차 두 아들을 데리고 집에 나가서 내 여생(餘生)을 편안하게 살겠다.’고 하였는데, 내가 우연히 그 글을 얻어보고 일러 말하기를, ‘허물을 고치기를 기다려 서로 보도록 하겠다.’라고 하였더니, 윤씨(尹氏)가 허물을 뉘우치고 말하기를, ‘나를 거제(巨濟)나 요동(遼東)이나 강계(江界)에 처(處)하게 하더라도 달게 받겠으며, 남방기(南方記)에서 발원(發願)한 대로 사람의 허물을 무량수불(無量壽佛) 앞에서 연비하여 이를 맹세하겠습니다.’라고 하므로, 내가 이를 믿었더니, 이제 도리어 이와 같으므로, 전일(前日)의 말은 거짓 속이는 말이었다.

曩在丁酉, 尹氏陰懷毒藥, 謀欲害人, 至以乾柿砒礵, 同置囊中, 安知不欲食我也? 或無子, 或半身不遂, 凡害人之方, 書諸小冊, 藏于篋中, 事覺, 大妃取之, 至今猶在。 又僞作嚴氏家與鄭氏家相通, 謀傾尹氏, 諺文, 故投于權氏之第, 蓋欲事覺, 害及兩氏也。 常見我, 未嘗和顔, 或言欲取我足跡, 而去之。 雖樵夫之妻, 尙不敢抗其夫, 況妃之於君乎? 又作僞書, 通于本家曰: ‘主上打我腮, 將率吾二子, 出居于家, 以安吾生也。’ 予偶得其書, 謂之曰: ‘俟改過, 乃相見。’ 尹氏悔過曰: ‘使處我於巨濟遼東江界, 亦所甘受, 願於南方記, 人過無量壽佛前, 燃臂以矢之。’ 予乃信之。 今反如此, 前日之言詐也。

腮가 뺨을 뜻하는 '뺨 시' 자였군요. 아무튼 가정폭력이 만만치 않았으니, 거꾸로 윤씨가 성종의 얼굴을 할퀴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어쨌든 성종은 만 22세의 혈기방장한 나이. 윤씨의 나이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성종보다 두살 많거나 열두살 많은(드라마 '인수대비'는 12세 연상설을 택했습니다) 나이입니다. 나이가 많으니 자신이 시들고 꽃다운 새 후궁들에게 임금을 빼앗긴다는 것이 견딜수 없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미 원자를 낳은 몸, 조금 마음을 누그러뜨리고 처신했더라면 연산군의 비극도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정작 중전이 성종의 뺨을 할퀴었다는 기록은 다른 책에 나옵니다. 1638년 나온 '기묘록'에는 이런 내용이 전해집니다.

성종조(成宗朝)에 공혜왕비(恭惠王妃)가 죽은 다음 숙의(淑儀) 윤씨를 올려서 비(妃)로 삼았다. 성화(成化) 병신년에 연산을 낳아 은총이 융숭하니, 교만하고 방자하여 여러 숙원(淑媛: 양가(良家)의 딸이었던 정씨(鄭氏)와 엄씨(嚴氏)를 말한다) 을 투기하였고 임금에게도 불손하였다. 하루는 임금의 얼굴에 손톱 자국이 있으므로 인수대비(仁粹大妃)가 크게 노하여, 천위(天威)를 격동시켰다. 임금이 외정(外庭)에 나가자 대신 윤필상(尹弼商) 등이 영합하여 의논을 올려 윤씨를 폐하여 친정으로 나가게 하였다.

成宗朝。王妃恭惠薨。陞淑儀尹氏爲妃。成化丙申生燕山。寵隆驕恣。妬忌諸媛不遜於上。一日聖顏有爪痕。仁粹妃 大怒。激成天威。出視外庭。大臣尹弼商等將順獻議。廢出私第。

 

뒷날의 '연려실기술'에서도 인용하고 있으니 근거 없는 얘기는 아닐 듯 합니다. 다만 드라마에서 볼 수 있듯 바로 그날, 그 '임금이 다른 후궁의 침소에 간 날' 몸싸움이 벌어져 손톱자국이 났는지까지는 알 수 없습니다.

어쨌든 손톱자국이 결정적인 역할을 해서 궁에서 쫓겨나는 몸이 된 중전 윤씨. 사실 이때까지만 해도 '죽음'까지 생각한 사람은 많지 않았을 듯 합니다. 그러나 결론은 사약으로 이어지고, 비극은 수십년 뒤까지 이어집니다.

물론 그 얘기는 나중에 잇겠습니다.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