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994년인가 도쿄를 처음 갔을 때, 혼자였다. 날은 꽤 쌀쌀했고, 아는 건 아무 것도 없었다. 일본어는 그때나 지금이나 한마디도 못한다. 여행안내서에서 우에노라는 지명을 처음 봤다. 숙소가 신주쿠 주변이라, 녹색 야마노테센을 타고 한참을 갔다.

우에노공원이라는 이름 안에 동물원, 미술관, 박물관이 한데 모여 있었다. 평일 오전이라 한적한 공원. 차가운 비가 스물스물 내리는 길을 혼자 우산을 쓰고 걸어가는데, 진입로에 뜬금없이 군고구마 파는 아저씨가 있었다. 아침을 챙겨 먹었지만 군고구마 냄새는 위협적이었는데 가격이 400엔. 당시 한국 기준으로 고구마 하나에 4천원은 너무 비쌌는데 심지어 웬만한 무 만큼 고구마가 컸다. 

"하프?"

손님이 없어서 그랬는지, 외국인이 딱해서 그랬는지 아저씨가 절반을 뚝 잘라 주고 200엔을 받았다. 그때부터 우에노는 내 기억 속에 군고구마로 남았다. 

어 하고 들어가보니 여기는 아시아관. 우에노 일본 국립박물관에는 3개의 건물이 있다. 하나는 한국, 중국, 태국 등의 유물을 전시한 아시아관, 일본을 대표하는 박물관인 본관, 그리고 표경관이라는 건물이다. 건물은 표경관이 제일 예쁜데... 뭔가 헬로 키티 전시회를 하고 있다. 

다 돌아보기엔 기운도 딸리고, 아무래도 관심있는 건 일본 유물. 본관으로. (사진은 재팬가이드. 건물 정면 사진을 못 찍음)

1938년에 지어진 건물. 고색창연한 1층 로비와 계단. 

눈길을 확 사로잡는게 화려한 기모노. 

뭐 제대로 기모노를 보자면 복식박물관 같은 것이 따로 있겠으나, 국립박물관에 전시된 물건인 만큼 하나 하나 수로 놓인 장식이 어마어마한 공력이 들었음을 바로 알수 있게 한다. 

사실 기모노에서부터 느껴지는데, 워낙 오래 전이라 정확하게 기억은 나지 않지만 전시의 규모가 좀 줄어들었다는 느낌이 든다. 서울의 국립박물관처럼 시대순으로 배치되어 있지도 않고, 주제별로 일본을 대표하는 유물들을 보여주는 쪽으로 초점이 맞춰졌다는 느낌? 

이를테면 죠몬시대, 아스카 문명, 무로마치 시대 등으로 구분되어 있는게 아니라 유키요에, 기모노, 그림, 칼, 요로이와 구조쿠(갑옷), 도자기, 불상 등 주제에 따라 유물들이 배치되어 있었다. 심지어 한 주제에 대해 전시된 유물이 그리 많지도 않다. '보셨죠? 이렇게 대단한 유물이 많아요' 라는 태도가 아니라, '뭐 이런 겁니다' 정도랄까. 대신 동선이 훨씬 여유롭고, 이해를 돕는 보조 자료(이를테면 영상)의 활용이 많았다.

그리고 모든 유물의 설명이 일본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로. 

여름에 도쿄 민예관을 다녀온 뒤로 도자기에 요즘은 눈길이 간다. 이런 19세기식의 화려한 스타일.  

이건 17~18세기 에도 스타일. 에도 시대에도 '교야키(京燒)'라고 부른 것은 교토 도자기였다니. 바닥에도 '미조로가이케'라는 도장이 찍혀 있었다는 것은 이때 이미 도공들의 브랜드가 진행되었다는 얘기겠지. 철화, 청화, 백토가 모두 동원된 표현 기법도 세련되어 보인다. 

이것이 임진왜란때 끌려간 조선 도공의 후예들이 모여 살았던 큐슈 이마리(伊万里) 도자기. 아직까지는 독자적인 스타일 보다는 중국 경덕진 도자기 스타일의 작품들을 만들 시절이라고 되어 있다. 

물론 그 이전 것들인, 한반도에서 만들어져 일본으로 건너간 물건들도 꽤 많았다.

'겐토'라는 이름까지 붙여져 가격을 매길 수 없는 명품으로 꼽히던 작품.

우리 눈으로 보기엔 그냥 흔한 밥공기 같은 이런 물건들이 일본에서는 고려다완이라 불리며 엄청난 귀물 대접을 받았다는 것이 여전히 신기하다. 

그리고 눈길이 가는 건 이런 정교한 완구류,

한국 유물 중에는 흔히 보기 어려운 이런 정교하고 아기자기한 소품들. 소풍 세트라니.

주문 생산일지, 공산품일지는 모르겠지만 저런 물건이 만들어지고 팔렸다는 것은 취향이라는 것에 가치를 부여하는 수준의 도시 문명이 통하는 시장이 형성되어 있었다는 얘기.

그리고 우타가와 히로시게(이때까지는 우타가와도 한 사람인줄 알았다. 알고보니 우타가와는 우키요에 화가 패밀리의 이름. 스승이 우타가와면 제자도 데뷔 후 우타카와라는 이름을 사용했다고 한다)의 우키요에를 보다가, '내친김에' 스미다에 있는 호쿠사이 미술관을 가기로 맘 먹었다. 

전철역에 내리면 보이는 엄청 큰 간판. 전철역에 '스미다'가 살짝 가렸다.

어쨌든 호쿠사이가 살았다는 동네라 '스미다'를 강조한다. '스미다 호쿠사이 미술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