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영화 소개 프로그램에서 심은경의 '빙의 장면'을 못 보신 분이라도, 이 영화의 개요에 대해 조금이라도 들은 분들은 이 영화의 흥행 포인트를 두가지로 압축하는 데 크게 어려움이 없으실 겁니다. 첫째는 최근 몇년 사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이른바 '80년대 지향형 추억 마케팅'이고, 또 하나는 여성 영화로서의 가능성입니다.

여성 영화라고 약간 뭉뚱그려 표현했지만 좀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면, 소위 의리니 우정이니 하는 것들이 왜 남자들만의 전유물처럼 표현되느냐는 반발이 저변에 깔려 있는 작품이라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말하자면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라든가, 흑인 여강도 집단 이야기를 다룬 제이다 핀켓 스미스의 '셋 잇 오프', 그리고 교도소 동기들끼리의 여성 록밴드 이야기인 독일 영화 '밴디트' 같은 느낌의 작품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영화 '써니'를 보신 분들은 왜 이렇게 약한 표현을 쓰는지 아마 아실 수 있을 겁니다^^)을 갖고 있습니다.

어쨌든 이런 두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살펴볼 때, 아무래도 이 두가지 요소를 통해 성공했던 전설적인 히트작을 돌아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건 바로 곽경택 감독의 '친구'죠.



성공한 사업가인 남편과 딸 하나를 두고 별 고민없이 살고 있던 주부 나미(유호정)은 어머니 문병차 들른 병원에서 우연히 옛 친구 춘화(진희경)이 입원해 있다는 걸 알게 됩니다. 춘화의 병은 암. 살 날이 그리 오래 남지 않았다는 춘화의 말에 나미는 오래 전 함께 어울려 울고 웃던 '써니'의 일곱 친구들을 찾아 나섭니다.

그리고 어린 나미(심은경)의 시선으로, 전남 벌교에서 서울로 전학와 처음 만나게 된 춘화(강소라)와 친구들의 모습이 그려집니다. 쌍꺼풀 마니아인 자칭 no.2, 국문과 교수 딸인 욕쟁이, 미스코리아 지망생, 욱하면 무서운 문학소녀, 그리고 잡지 표지 모델인 미녀까지... 이들의 과거와 현재 모습이 교차되면서 나미는 잊고 살았던 '자기 자신의 삶'을 발견해 갑니다.



전형적인 '자아 찾기 영화'의 구도입니다. 사실 '전형적인' 이란 말을 리뷰에 쓸 때에는 대개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뜻이지만, 강형철 감독에게는 예외일 듯 합니다. '과속 스캔들'도 그랬지만 '써니'는 '전형적인 수법'이라든가 '어디서 많이 본 장면'에 대한 두려움이 없는 영화입니다. 오히려 '어디서 많이 본 장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코미디가 이 영화의 강점이니 말입니다.

어쨌든 이 영화와 '친구'가 상당히 유사한 흥행 요소에도 불구하고, 코미디와 느와르라는 장르 성격상 사뭇 다른 길을 갑니다. 그런 의미에서 가장 코믹했던 점은 '친구'의 한 장면과 매우 유사했던 부분이죠. (그런 장면이 있습니다.^)



어른 배우들보다 어린 배우들의 연기가 매우 뛰어나다는 점, 특히 심은경이라는 천재적인 청소년 연기자의 솜씨가 불을 뿜는다는 것은 굳이 영화를 보시지 않은 분들이라도 능히 짐작하실 수 있을 겁니다. 영화 속 과거 모습의 재현도 정교하게 과거를 복원한다는 의미보다는 재미를 위해 어느 정도의 왜곡은 당연하다는 태도 쪽으로 기울어집니다.



( 이를테면 영화의 배경은 아무래도 1987년쯤으로 보이는데, 시위 장면에서 굳이 그해 7월 개봉한 '록키4'가 극장에 걸려 있다는 점은 옥의 티 수준입니다. 시위 내용으로 보아 87년 전반기(즉 6.29 이전)가 더 잘 어울릴 것 같은데 말입니다. - 어쨌든 아시겠지만 이런 부분은 모두 재미로 따지는 겁니다. 거기에 목숨 걸 생각은 추호도 없습니다.)

아무튼 영화는 흠잡을 데 없이 유쾌하고 즐겁습니다. 이 영화가 흥행에서 대박을 내느냐 마느냐 하는 부분은, 80년대에 청춘을 보낸 남자들이 영화 '친구'때 보여줬던 수준으로 80년대에 청춘을 보낸 여성 관객들이 이 영화를 찾느냐에 달렸다과 봐야 할 듯 한데, 그건 좀 더 지켜봐야 알 수있을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도 매우 궁금하게 여기는 부분입니다.



위에서 '여성 영화로서의 가능성'을 얘기했지만, 그 부분에 너무 중점을 두면 이 영화를 보는 의미가 없어집니다. 어디까지나 그건 그냥 '가능성' 선에 머뭅니다. 어디까지나 이 영화는 - 욕이 너무 많이 나온다는 문제점이 있긴 하지만 - 가족용 코미디 영화입니다. 왠지 중년의 엄마와 10대 딸들이 같이 보면 좋지 않을까 싶은 느낌이 들더군요.




<<< 나머지 내용에서는 스포일러가 나올 수 있습니다. 영화를 더 재미있게 보실 분들은 건너 뛰셔야 할 부분들입니다. >>>




P.S.1. 이 영화를 보실 때 80년대 운동권에 대한 희화화라든가(예전의 운동권이던 오빠의 이름이 임종& 라는 거나, '노동운동 한답시고 돌아다니다가 나이 먹어서 부하 직원들 봉급이나 떼먹는 사람이 됐다'는 얘기를 듣는 점, 뭣보다 시위 현장과 여고생들의 패싸움 장면의 오버랩 등), 산타클로스의 등장으로 모든게 해결돼 버리는 데 대한 반감 같은 것은 좀 접어 두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P.S.2. 수지 역의 성인 배우가 예고편이며 영화 소개 프로그램에 소개되지 않는 데 대해 많은 억측과 관심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뭐 스포일러를 각오하고 얘기하자면 나오긴 나옵니다. 한때 대단히 인기있었던 분이었고, 지금도 적잖은 나이지만 우아한 모습을 간직하고 계시더군요. 정 궁금하신 분은 아래 희게 보이는 부분을 마우스로 긁어 보시기 바랍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1847553


P.S.3. 주제가처럼 사용되는 'Time Atfer Time'은 신디 로퍼의 오리지널 버전 대신 턱 앤 패티의 리메이크 버전이 사용됐습니다. 목소리를 들었을 때에는 트레이시 채프먼의 리메이크를 사용한 줄 알았는데 턱 앤 패티의 여성 보컬 음색이 채프먼의 판박이더군요. 굳이 리메이크를 쓴 건 신디 로퍼의 노래가 두 곡 들어가는 걸 경계한 탓이 아닐까 싶습니다.


P.S.4. 아주 오래 전에,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앞부분에 아역으로 나오던 제니퍼 코넬리가 뒷부분에서 엘리자베스 맥거번이 되어 있는 걸 보면서 '세월의 잔혹함을 보여주려는 은유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 적이 있는데, 이 영화에서도 그런 시도가 나옵니다. 왕년의 꽃미남 김시후가 중년 배우 L씨로 바뀌어 있는 부분에서 인생의 비애가 느껴지죠.



P.S.5. 마지막으로 딴지는 마그마의 '알수 없어'와 리처드 샌더슨의 'Reality'가 엇갈리는 음악감상실 신은 아무리 봐도 87년이라기보다는 70년대, 아무리 더 쳐 줘도 80년대 초의까지의 느낌인 듯 합니다. 80년대 중반 이후 그 분위기의 업소는 아주 조명이 캄캄해 지거나(신촌 일대), 영상 음악 카페로 바뀌어 사라졌죠. (뭐 물론 재미로 그렇다는 겁니다.^)


아무튼 이 영화 최대의 소득은 강소라라는 배우의 발견이 아닐까 싶습니다.^^


아래쪽 손가락 모양을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