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광해, 왕이 된 남자'가 흥행에 가속을 붙이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면 추석 연휴도 '광해'의 차지가 되지 않을까 하는 예상이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죠.

 

'광해'는 역사 다큐멘터리가 아닙니다. 역사에 대한 상상력에서 발생한 픽션이죠. '바람의 화원'이란 드라마에서 화가 신윤복이 '혹시 여자가 아닐까' 하는 상상에서부터 이야기를 끌어나갔고, '공주의 남자'에서 김종서의 아들과 세조의 딸이 연인 사이였다면 하는 상상을 출발점으로 삼았던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광해군과 쌍둥이처럼 닮은 남자가 있었는지 말았는지, 지금으로선 전혀 알 길이 없습니다.

 

물론 이 정도는 당연히 이해하고 계시겠지만 그 밖의 이야기들, 영화 '광해'가 다루고 있는 광해군 시대의 여러가지 모습들 중에도 고개를 갸웃거리게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다는 아니겠지만 가끔씩 영화를 역사 교과서로 생각하고 '아~~ 정말 그랬었구나. 난 몰랐네'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분들을 위한 선 긋기에 해당하는 글입니다.

 

 

 

 

분명히 말해 둘 것은, 이 글은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의 작품성과는 아무 상관 없는 글이라는 점입니다. '광해'는 매우 잘 만들어진 오락 영화고, 영화는 본래 역사 교과서가 될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영화를 보면서 '실제로도 저랬나?' 라든가, '저건 실제론 어땠지?'라는 궁금증을 느낀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그냥 리뷰가 필요하신 분은 이쪽:

'이병헌, 사실은 1인3역이었다. http://fivecard.joins.com/1050 '

 

사실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를 보지 않은 분이 이 글을 읽으면 왜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인지 종잡을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당연히, 아주 당연히 이 글은 영화의 결말을 거론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미 영화를 보신 분이나, '나는 결말을 알고 가야 영화가 더 잘 들어온다(네. 이런 분 분명히 있습니다)'는 분들만 이 글을 읽으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고서 스포일러당했네 어쩌네 하는 분들이 없으셨으면 합니다.

 

 

 

 

1. 광해군 8년, 광해는 위기였나?

 

사실 광해군은 즉위 내내 위기였다고 말해도 좋을, 매우 불안한 권력 위에 있었습니다. 임진왜란중 이미 아버지 선조를 대신해 국정을 맡을 정도로 뛰어난 기량을 보였지만, 선조는 뒤늦게 정궁에서 낳은 아들 영창대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싶어 했습니다. 가까스로 왕위에 오른 뒤에도 왜 형 임해군이 아닌 둘째 광해군이냐는 명의 질문에 대답해야 했고, 결국 형 임해군의 의문사에 이어 즉위 6년차에는 어린 동생 영창대군을 귀양지에서 죽게 하는 데 이릅니다.

 

이런 상황이니 언제 반대파가 들고 일어나든, 누군가 수라에 독을 타든 그리 놀라울게 없는 상황이 계속됩니다. 그런 상황이고 보면, 광해군이 '나와 똑같은 가짜를 써서 적들을 혼란에 빠뜨리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한다 해도 그리 놀랄 일은 아닐 듯 합니다. 이 대목에서 '광해'의 설정은 상당히 그럴싸합니다.

 

여기서 한번 광해군 관련 연보를 짚고 넘어갑니다.


1569 허균 탄생
1575 광해 출생

1576 중전 유씨 탄생

1592 임진왜란
1600 인목대비, 19세 나이로 51세 선조와 혼인
1606 영창 출생
1608 즉위, 대동법 실시
1613 5년 칠서지옥, 영창대군 서인
1614 6년 영창 살해
1616 8년. 2. 28 "숨겨야 할 일들은 조보에 내지 말라"
1618 10년 강홍립 파병, 인목대비 서궁유폐, 허균 역모로 능지처참

1623 15년 인조반정. 광해군 폐위

1641 광해군 사망

 

 

 

2. 중전 유씨는 한효주의 느낌이 났을까?

 

사실 사극에 나오는 중전마마들은 거의 한결같이 우아하고 기품있는 미인들인데 과연 모든 중전마마들이 그랬을지는 모를 일입니다. 그때 본 사람이 지금 있을 수 없으니 이건 뭐 하나마나한 얘기.

 

그런데 사실 나이 부분은 좀 걸립니다. 왕비 유씨는 1576년생으로 광해군 보다 한살 아래. 이 말은 문제의 광해군 8년인 1616년에 유씨가 만 40세라는 뜻이 됩니다. 물론 하선도 실제 광해군과 비슷한 또래였긴 했겠지만 17세기의 40세는 지금의 40세와 상당히 다른 느낌이죠. 최소한 한효주의 느낌은 아니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나이 부분을 아래 댓글 지적을 받아 수정했습니다.;; 이런 기초적인게 틀리면 안되는데...;;)

 

그리고 실제 왕비 유씨는 柳씨지만 영화 속의 유씨는 兪씨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왜 굳이 성의 한자를 바꿨는지는 저도 궁금합니다. (아울러 영화 속 중전의 오빠는 긍정적인 인물로 그려지지만, 실제 중전 유씨의 오빠는 광해군 때의 권신 유희분입니다.)

 

 

 

 

3. 허균은 도승지가 아니었다?

 

영화 속 허균은 도승지로 광해군의 최측근 역할을 하지만 사실 허균은 도승지라는 벼슬을 한 적이 없습니다. 한때 좌승지로 임금의 비서 역할을 한 적은 있죠.

 

하지만 역시 1616년의 허균은 종계변무의 마무리를 위해 명에 사신으로 다녀왔고, 이 공로를 인정받아 형조판서-좌참찬으로 출세일로를 걷습니다.

 

물론 판서는 정2품으로 정3품의 도승지보다 높은 자리지만, 도승지는 왕을 측근에서 보좌한다는 특별한 역할 때문에 품계에 관계없이 요직으로 여겨졌습니다. 정작 광해군 시대에 도승지 자리를 가장 오래 유지한 사람은 이덕형입니다. 바로 '오성과 한음'으로 잘 알려진 그분이죠. 이덕형은 허균보다 8년이나 연상이지만 광해군이 밀려나는 그날까지도 도승지였습니다.

 

[이 대목에서 오류를 범했습니다. 광해군 때 오래 도승지 자리를 유지한 사람은 한음 이덕형(李德馨 1561~1613)이 아니라 또 다른 이덕형(李德泂 1566~1645)이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두 '이덕형'이 활동했다는 사실은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아래 댓글 지적에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이렇게 되면 이덕형은 허균보다 8년이 아닌 3년 연상이 됩니다.]

 

아무튼 허균이 1616~1617년에 걸쳐 광해군의 총신이었던 것은 분명하니 뭐 벼슬이 그리 중요할까 싶기도 합니다.

 

 

 

4. 서인 정권 속의 외로운 왕?

 

'광해'에는 하선이 백관들과 마주해 명에 보내는 공물 등을 논하며 "그대들같은 서인이 아니라는 이유로!"라고 질타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영화 '광해'와 현실이 가장 크게 빗나가는 부분이 바로 이 대목입니다. 그 대신들은 대부분 서인이 아닌 북인의 일부, 대북파였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당시 정권을 좌우하던 당은 바로 광해군을 옹립한 세력으로, 이이첨을 중심으로 한 대복이었습니다. 서인은 소수파에 지나지 않았고, 그래서 인조반정을 일으킨 서인 세력 들 중 중앙 고위직은 찾아보기 힘들었고, 대부분 지방의 부사, 부윤 급 정도였습니다.

 

물론 광해군이 매사에 대북 일파와 좋은 관계를 유지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광해'는 '보수파=서인=친명 세력=수구적=주자학 교조적'이라는 국사교과서의 상식에 너무 매달린 나머지, 광해군도 서인 대신들 속에 파묻힌 것으로 오도하고 있습니다. '광해'와 '영원한 제국'을 혼동할 정도로 말입니다.^^

 

 

 

 

5. 광해군은 반명(反明)적이었나

 

사실 광해군의 정책은 똑부러지게 '반명'이라든가 '친청'이라고 규정하기 힘듭니다. 당시 조선 사대부의 여론은 확실히 재조지은, 즉 임진왜란 때 원병을 파견해 왜군을 물리쳐 준 명과의 의리를 잊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대세였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감히 광해군도 부정할 수 없는 시대의 대의였죠. 광해군도 후금과의 관계 조정은 어디까지나 '미봉'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1619년의 실록. 명의 요청에 따라 조선군을 이끌고 후금과 전투를 벌인 강홍립이 광해군의 밀명에 따라 전투를 회피하다가 패전 후 항복한 데 대해 신하들이 강홍립의 가족을 벌주자는 건의를 하고, 거기에 광해군이 답변한 내용입니다.

 

 

광해 139권, 11년(1619 기미 / 명 만력(萬曆) 47년) 4월 8일(신유) 1번째기사
왕이 노추를 잘 미봉하고 명에 대한 의리로 국방의 계책을 삼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적신 강홍립 등이 명을 받고 싸움터로 나갔다면 오직 적만을 쫓아야 할 일입니다. 그런데 도중에서 먼저 통역을 보내어 미리 출병하는 까닭을 통지하는 등 마치 당초에 싸울 뜻이 없는 것처럼 하였습니다. 이어, 도망쳐 돌아온 사람들의 말을 듣고도 반신반의하였다가 그들의 장계를 보니, 힘이 모자라 함락을 당하였다는 정상은 조금도 없고 또한 구차하게 살아난 것을 부끄러워하는 뜻도 없이 가는 길의 행군한 절차를 차례로 서술하고 감히 미리 통지하여 낭패하였다는 등의 말을 버젓이 아뢰면서 스스로 그들이 한 일이 당연한 것처럼 여기고 있으며, 끝에 가서는 다시 회답할 말을 지시해 주어 살아서 돌아오기를 꾀하고 있습니다.

신하로서 적에게 항복하는 것은 천하에 가장 나쁜 행실입니다. 이것을 범하였을 경우 그 처자를 감금하여 법으로 처치하는 것이 국가의 일상적인 형법인데 (중략) 이 때문에 신들이 그들의 처자를 감금하고 정응정 등을 나포하여 문초하는 일에 대해 번거로움을 피하지 않고 누누이 청한 것입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지금 계사를 보니, 뜻은 좋다. 그러나 내 비록 혼미하고 병들어 맑은 정신은 아니지마는 처음부터 알고 있었다. 경들은 이 적을 어떻게 보는가? 우리 나라의 병력을 가지고 추호라도 막을 형세가 있다고 여기는가? (중략)


지난해 군병을 들여보낼 때 경들은 마치 일거에 탕평할 것처럼 여겼는데, 병가(兵家)의 일은 어찌 두렵지 않겠는가. 옛사람들이 감히 가벼이 사용하지 아니한 것은 이 때문이었다. 명나라에서 만약 군병을 진열하여 무력을 과시하고 중국의 국경을 굳게 지킨다면 마치 호랑이나 표범이 산 속에 있는 형세와 같아 적이 비록 날뛴다고 하더라도 감이 업신여기지 못할 것이다. 그런데 이 점은 생각지 않고 가벼이 깊이 들어갔으니 반드시 패하리라는 것은 의심할 것이 없었다. (중략)


강홍립 등의 사건에 있어서도 비록 적에게 항복하였다고 하나 이처럼 급하게 다스릴 것이 뭐가 있겠는가. 강홍립 등이 불행히 적진 중에 함몰되었으나 보고 들은 것들을 밀서로 계문하는 것이 무엇이 안 될 것이 있는가. 진실로 본사의 계문과 같이 한다면 비록 노중(虜中)에 함락되었더라도 보고 들은 것들을 기록하여 보내지 않아야 옳다는 말인가. 아, 묘당에 사려 깊은 노성(老成)한 인재는 거의 죄다 내쫓아 참여하지 못하게 하고 젊고 일에 서투른 사람이 비국에 많이 들어갔으니 국가 운영을 잘 못하는 것은 이상하게 여길 것조차도 없다.

대국 섬기는 성의를 더욱 다하여 붙들어 잡는 계책을 조금도 해이하게 하지 말고 한창 기세가 왕성한 적을 잘 미봉하는 것이 바로 오늘날 국가를 보전할 수 있는 좋은 계책이다. 그런데 이것을 버려두고 생각지 않은 채 번번이 강홍립 등의 처자를 구금하는 일만 가지고 줄곧 계문하여 번거롭히고 있으니, 나는 마음 속으로 웃음이 나온다. 본사에서 누차 청하는 뜻을 나 또한 어찌 모르겠는가. 천천히 선처하여도 진실로 늦지 않다. 오직 국가의 다급한 것을 급선무로 삼아야 할 것이다. 노추의 서신이 들어온 지 이미 7일이 되었는데 아직도 처결하지 못하였다. 국가의 일이 이 지경에 이른 것은 모두 하늘의 운수이니 더욱 통탄스럽기만 하다.”

하였다. 당초에 강홍립 등이 압록강을 건너게 된 것은, 상이 명나라 조정의 징병 독촉을 어기기 어려워 억지로 출사(出師)시킨 것이었지, 우리 나라는 애초부터 그들을 원수로 적대하지 않아 실로 상대하여 싸울 뜻이 없었다. 그래서 강홍립에게 비밀리에 하유하여 노혈(虜穴)과 몰래 통하게 하였던 것인데 이 때문에 심하(深河)의 싸움에서 오랑캐의 진중에서 먼저 통사를 부르자 강홍립이 때를 맞추어 투항한 것이다 이때에 이르러 구금되어 있으면서 장계를 써서 종이 노끈을 만들어 보냈는데, 화친을 맺어 병화를 늦추자는 뜻을 자세히 언급하였다. 정응정 등은 도망쳐 온 것이 아니고 오랑캐가 풀어 보낸 것인데, 보는 이들은 모두 노추(奴酋)가 전쟁을 늦추려는 계획이라고들 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조선왕조실록의 광해군 기록은 모두 광해군이 폐위된 뒤에 편집된 것이라는 점입니다. 당연히 광해군의 패륜과 실정에 주목하고, 인조반정을 합리화하는 방향으로 쓰여져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 기록은 사관이 광해군의 말에 심히 공감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오늘날 역사를 배운 사람들은 하나같이 이 시절 조정 대신들이 명분론에 매달려 나라를 망쳤다고 한탄하지만, 이 명분론이란 역사에 대의와 인과응보가 있어야 한다는 주장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요즘으로 치면 '과거사'와 '역사의 정의'를 말하는 주장과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광해군도 명을 부정하기 보다는, 다만 '미봉'이라는 말로 한창 일어나고 있는 후금을 무시할 수 없다는 주장을 할 뿐입니다. (광해군이 어떻게 조정 대신들을 압도할 수 있는 정보력을 갖게 됐는지도 사실 궁금합니다. 비밀 정보조직이라도 운영한 것인지...)

 

 

 

 

6. 허균은 역성혁명을 일으켰나?

 

이건 제작진이 '역성혁명'이란 말에 얼마나 의미를 부여했는지 몰라 약간 애매합니다. 역성혁명(易姓革命)이란 글자 그대로의 의미, 그러니까 '한 왕조를 멸망시키고 새로운 성씨의 왕조를 세운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역사의 기록대로만 보면, 허균에게 씌워진 혐의는 역성혁명이 아니라 의창군 광을 추대하려 했다는 것입니다. 의창군은 광해군의 막내 동생뻘이며 허균의 조카사위입니다. 의창군 역시 조선의 왕족이므로 이건 역성혁명이 될 수가 없는 것이죠. (조선시대에도 역성혁명을 시도한 사람은 꽤 됩니다. 유명한 정여립이 - 물론 진짜 반란을 일으켰는지는 알 수 없으나 -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이렇듯 허균이 '역성혁명'을 시도했다는 것은 역사적인 근거가 없는 얘기입니다. 이 부분은 시나리오의 마지막 수정자가 역성혁명이란 말의 의미를 잘 몰랐는지, 아니면 김탁환의 '허균의 마지막 19일' 등에 나오는 '허균 역성혁명 가설'을 선택한 것인지 정확하지 않습니다. 물론 영화 안의 맥락으로 봐선 허균이 하선을 보고 '새로운 왕'의 가능성을 봤고, 하선을 살려 보낸 사실이 광해군에게 드러나면서 '역성혁명을 시도했다'는 죄목으로 처단됐다는 설명이 맞아 떨어집니다.

 

(어쩌면 제작진의 머리 속에는 '광해, 왕이 된 남자'가 끝난 뒤 허균이 다시 하선을 찾아 나서고, 하선을 다시 왕으로 만들기 위해 거대한 음모를 짜다가 들통나고, 결국 하선과 허균이 함께 능지처참을 당하는 장대한 속편의 구상이 담겨 있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건 마치 알렉상드르 뒤마의 '삼총사' 속속편인 브라즐론 자작의 3부 - 흔히 '철가면'이란 제목으로 알려진 - 같은 느낌이군요.^)

 

 

 

거듭 말씀드리자만 '광해'은 오락 영화로서 탁월한 완성도를 갖고 있는 작품입니다. 그리고 영화를 만드는 사람은 역사를 상상력으로 다시 재단해 자유롭게 구성할 권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간혹 - 보다는 꽤 많이 - 영화 속의 역사 재구성을 마치 '감춰진 역사 발굴'로 착각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 글은 그런 분들의 오해를 막기 위해 쓰여진 것입니다.

 

(그러니 '영화는 그냥 영화로 봐라'라는 말씀 사절.)

 

 

조 아래쪽 추천 상자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