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최동원에 대해 늘 나오는 얘기는 '단기전에서는 최강이었고 타자를 압도하는 기세가 일품이었지만 젊어서 너무 혹사당한 탓에 투수로서 단명했다'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환경으로 들어가 봐야 합니다. 그리 짧게 정리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일세를 풍미한 대투수를 나름대로 조상하는 글이기 때문입니다.

프로야구 출범 직전인 1977~1981년의 시점으로 돌아가 봅니다. 한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는 고교야구였고, 성인야구에도 수많은 스타들이 있었지만 후대에까지 전설로 불릴 만한 스타는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꼽자면 최동원, 장효조, 그리고 김재박을 첫 손에 꼽을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세 선수는 각자 자기 포지션에서 적수를 찾을 수 없을 정도의 위세를 뿜어내고 있었죠. 80년대로 접어들면서 고교야구 사상 최강의 강타자들이었던 한양대의 이만수와 고려대의 김정수가 차세대 스타의 자리를 예약하고 있던, 그리고 선동렬과 박노준이 갓 고교야구 스타로 발돋움할 시점입니다.





77년 연세대에 입학한 직후부터 최동원은 곧바로 국내 최고 투수로 공인을 받게 됩니다. 고교야구 시절 한 경기 탈삼진 20개를 기록하며 최고의 재목으로 꼽히기는 했지만, 당시 경남고의 전력은 최동원을 제외하면 큰 기대를 가질 수준이 아니었죠. 아무리 최동원이 잘 던져도 늘 이길 수 없는 팀이었습니다.

하지만 연세대는 달랐습니다. 고려대 입학 약속을 하루 아침에 뒤집고 최동원이 연세대에 입학한 77년은 바로 전력이 급상승하는 해였던 겁니다. 이미 박철순, 배경환 등 뛰어난 투수들이 있었던데다 실업야구의 강타자이자 국내 최고 포수 중 하나였던 박해종이 뒤늦게 77학번으로 대학에 입학합니다. 또 3년 선배로 '투수에서 포수까지 전 포지션을 뛸 수 있다'던 만능 선수 이광은과 그의 배재고 동기인 철완의 외야수 신언호가 있었고, 역시 강타자 김봉연도 이 해에 복학합니다. 최동원과 합께 입학한 강타자 양세종도 빼놓을 수 없죠.



(만약 최동원이 당시 고려대로 갔다면 또 어떻게 됐을까요. 김윤환 우경하 등 강타자들과 또 한팀을 만들었겠지만 연세대만큼 강한 팀이 되지는 못했을 듯 합니다. '최동원의 연세대'를 이기기 위해 고려대는 이듬해부터 김경문 박종훈(78년)은 물론 79년에는 양상문 김호근 김정수 김남수라는, 당대 고교야구의 '빅4'를 모두 잡아오는 등 필사적인 추격을 펼칩니다....만, 최동원의 벽을 넘기엔 역부족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런 전력의 뒷받침 속에서 최동원은 최고의 에이스로 자리를 굳힙니다. 그해 대학야구 4관왕에 오른 것은 물론, 곧바로 국가대표로 선발되자마자 니카라과에서 열린 슈퍼월드컵에서 한국이 우승을 해 버립니다. 물론 쿠바가 불참한 대회라는 것도 최동원의 행운 중 하나일 겁니다. 이 대표팀 마운드에서 최동원이 그 핵심적인 역할을 한 건 말할 것도 없습니다.

이처럼 그가 승승장구, 최고의 스타로 발돋움하는 데에는 몇가지 좋은 여건이 따랐습니다. 첫째는 위에서 말한 대로 경남고 졸업 직후 그를 포함해 전력이 최고조에 이른 연세대에 입학한 것. 그리고 둘째는 좋은 동년배들이 많았다는 것입니다.

(1977년 니카라과 슈퍼월드컵 대회 대표팀입니다. 7명의 투수 중 3명이 실업, 4명이 대학 선수일 정도로 대학생의 비중이 높습니다. 그 이유는 아래 설명합니다.)




고교시절부터 동갑내기 최동원-김시진-김용남은 최강의 트리오로 불렸습니다. 그리고 77년, 최동원이 대학에 입학한 이후 김용남은 약간 빛을 잃고, 이들보다 2년 선배인 임호균을 합해 최동원-김시진-임호균이 국가대표 마운드의 1,2,3번 투수가 됩니다. 77년 니카라과 슈퍼월드컵 대표팀이 이 최-김-임 트리오의 데뷔 무대였던 셈입니다. 그리고 이 트리오는 82년 세계선수권대회를 통해 선동렬이라는 새로운 에이스가 등장할 때까지 한국 야구의 최고 투수 자리를 내놓지 않습니다.

(78년 고교야구에서도 양상문(좋은 투수라는 것 외에는 전혀 공통점이 없었지만 부산 출신에 안경을 썼다는 이유로 '제2의 최동원'이라고 불렸습니다^^), 이상윤, 장호연, 양일환 등 우수한 투수들이 대거 배출됐지만 이 세대 역시 최동원과 김시진을 넘어설 만한 대 투수는 내놓지 못했습니다.)

 



이들이 한국 야구의 주축으로 일찍 떠오르게 된 것은 우선 무엇보다 이들이 뛰어난 투수였기 때문이지만, 당시 실업야구의 조로현상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많은 선수들이 대학 3~4년차, 졸업후 3~4년째까지가 전성기였고 그 뒤로는 아예 은퇴를 하거나 실력이 내리막을 걸었던 것이 이 시기에는 상식으로 여겨졌습니다.

당시 엘리트 선수의 코스는 대략 이렇습니다. 고교에서 좋은 성적을 내면 대부분 대학에 진학했고, 졸업 후 실업팀에 스카웃됩니다. 이후 2~3년간 선수로 뛰다가(대개 야간대학원 진학 등의 편법을 쓰는 거죠), 군에 입대합니다. 당시엔 성무(공군)와 경리단(육군)이 라이벌 관계로 실업야구의 핵심이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제대할 시점이면 서른 전후.

대단한 엘리트 선수가 아니면 은퇴를 해 일반 직원으로 변신하거나 - 은행 팀들이 실업야구의 주축일 때에는 많은 선수들이 은행원으로 변신했습니다 - 지도자가 되는게 대략의 길이었습니다. 이해가 안 가실 지도 모르겠지만 당시에는 은행 팀에 입단하면 '평생직장이 보장된다'는 이유로, 대학에 스카웃될 수 있는 우수 선수들 가운데서도 고교 졸업 직후 은행으로 직행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실례를 보면 더 느낌이 옵니다. 김응용 감독이 한일은행 선수에서 은퇴해 감독이 된 건 만 31세 때인 1972년입니다. 김성근 감독은 69년 일찍 은퇴하기도 했지만 실업야구 기업은행 감독이 된게 만 30세 때인 1972년이죠. 코치도 아니고 감독이 서른살 언저리였다면 한국 성인야구가 얼마나 젊은 팀이었는지 아실만 할 겁니다.

(이때문에 프로 출범 직전인 1981년, 현역 선수였던 33세의 김우열이나 32세의 윤동균은 전 실업야구 리그를 통틀어 대단히 희귀한 존재들이었습니다. 28세의 김봉연이 '대단한 노장' 대접을 받았으니 뭐 말할 것도 없죠.)


다시 77년으로 돌아가, 이런 환경이었기 때문에 19세의 최동원이 한국 야구의 기둥이 될 수 있었던 겁니다. 프로야구 출범이 선수들의 수명을 엄청나게 늘려 놓은 지금의 시선으로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죠. 바로 이런 분위기 때문에 선수들은 체계적인 몸관리가 필요 없었던 겁니다.

어차피 야구는 '서른 넘으면 그만 두는 종목'이었고, 웨이트 트레이닝은 '쓸데 없는 근육을 만들어 배팅 스피드를 줄이는', 절대 하면 안되는 운동이었죠. 당시의 투수들이 어깨가 아파도 계속 던졌고, 지도자들이 그걸 그냥 용인했던 것은 '서른 넘으면 쓸 일도 없는 어깨'라는 인식이 강했기 때문입니다. 어제 던졌다가 오늘 또 던지고, 아프면 약 먹고 던지고 하는게 상식이던 시절입니다.

1978년 6월6일자 중앙일보에 실린 저 위 기사를 보면 경악을 금할 수가 없습니다. 한 대회에서 42이닝, 그것도 준결승-결승은 이틀동안 연장전 포함 27이닝을 혼자 던졌다는 얘깁니다. 요즘 프로야구의 '노예'라고 불리는 투수들은 여기에 비하면 왕족이죠.

하지만 기사 어디에서도 '혹사'라는 표현을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아예 그런 개념이 없던 시대였던 겁니다. 최동원은 이런 70년대 야구의 산 증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런 투수가 1980년대 이후에 배출됐다면... 뭐 일찌감치 메이저리그에 가 있었을 지도 모를 일이군요.

아무튼 그 최동원은 바로 그 77년부터 미국 일본 프로야구의 주목을 받습니다. 오라는 데 많은 바쁘신 몸이 된 겁니다. 나중엔 미국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계약까지 했다가 파기를 선언, 계약위반이니 뭐니 시끄럽기도 했고 스카우트 파문에 짜증이 난 최동원이 은퇴를 선언하는 등 진통이 끊이지 않았지만, 대학 재학기간 중에는 주로 일본 프로야구에 진출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심이 쏟아졌죠. 재일교포가 구단주인 롯데 오리온즈(지바 롯데 마린스의 전신)로 가는게 아니냐는 얘기가 가장 많았습니다.



거기다 79년에는 구타에 항의한 팀 이탈 사건도 벌어졌고, 이때 세상의 반응은 '아니 어떻게 최동원 같은 스타를 때릴 수가 있느냐'는 것과, '마운드에서도 건방져 보이더니 오죽하면 선배들한테 맞았겠느냐'는 것으로 양분됐습니다. 늘 화제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었죠.

일단은 여기서 한번 자르겠습니다. 예상대로 길어지는군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