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제목부터 착 입에 감깁니다. '똥파리'. 그렇게 끈적끈적하고 냄새도 좀 나면서, 구질구질하고 보고만 있어도 없애 버리고 싶어지는, 그리고 당장 파리채로 때려 죽여서 휴지로 닦아 쓰레기통에 치워 버려도 세상에 아무 변화도 없을 것 같은 그런 존재감을 묘사하기에는 더없이 좋은 느낌입니다.

양익준 감독의 영화 '똥파리'가 이런 저런 유명한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는 걸 모르는 분들은 아마 아니 계실 듯 합니다. 그런 똥파리가 어떤 영화인지 궁금해서 지난주 극장을 찾았습니다. 의외로 객석은 많이 차 있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줄거리. 조폭사회의 맨 아래 층을 담당하는 인력동원 및 수금업에 종사하는 3류 건달 상훈(양익준)은 어느날 기분도 껄쩍지근하던 차에 길에서 자신의 험상궂은 외모와 말투에도 전혀 기가 죽지 않는 여고생 연희(김꽃비)를 만납니다. 흔한 날라리만은 아니고, 그렇다고 모범생도 아닌 연희에게 왠지 모르게 친근감을 느끼는 상훈.

전반부에서 영화는 상훈이 왜 아버지를 못 잡아먹어서 안달이며 심지어 구타까지 하는지, 연희는 어떻게 상훈의 심한 욕설과 험악한 태도에도 전혀 굴하지 않는지를 차근차근 설명해 줍니다. 둘은 서로의 인생에 조금씩 개입해 가기 시작합니다. 연희는 상훈의 배다른 누나(이승연)와 그 아들인 형인(김희수)을 알게 되고, 상훈은 모르는 사이에 연희의 남동생인 영재(이환)와 인연이 닿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똥파리'의 최대 미덕은 일단 내러티브가 탄탄하고 관객에게 쏙쏙 들어온다는 점입니다. 이야기의 서술 방식은 사실상 상훈의 1인칭에 가깝습니다. 가끔씩 시점이 연희에게 이동하기도 하지만 그 비중은 그리 크지 않죠. 프롤로그를 빼면 이 영화는 어느날 회사(?)에 출근한 상훈에게서 시작해, 그가 다른 어느날 일과를 대략 마치게 되는 데서 끝납니다.

양익준 감독의 욕이 절반인 구수한(?) 연기와 함께, 상훈의 구구절절 기구한 사연은 당연히 관객에게 이온음료처럼 흡수됩니다. 상훈과 연희의 삶은 정말 처절하다 못해 어떻게 사람의 삶이 이렇게까지 무너져 내릴 수가 있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하지만 상훈과 연희는 어떻게든 살아 보려는 캐릭터들입니다. 두 주인공 뿐만 아니라 이 영화는 근본적으로 성선설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일부러 남에게 해를 끼치려는 캐릭터는 사실상 없습니다. 이 사회의 밑바닥을 이루고 있는 사람들이지만 악의는 이 영화에서 별 의미가 없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부분은 관객의 입장에서 주인공에게 정서적으로 동화되기 쉽다는 강점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비판의 여지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과연 세상을 이루고 있는 사람들은 모두 본질적으로 타자에 대한 선의로 행동할까요? 세상이 이렇게 혼탁한 것은 오로지 착하게 살아가려는 의지를 가진 사람들이 악한 환경에 버려지기 때문일까요?

특히 주인공 상훈에 대한 감독의 애정은 눈물겹습니다. 입만 열면 욕에다 자기에게 잘 한다고 잘 하는 사장 만식에게도 함부로 대하고, 후배들까지도 늘 때려서 말썽을 만드는 사고뭉치지만 영화에서 그려지는 상훈의 내면은 꽃밭입니다. 깊은 속정으로 똘똘 뭉친 남자죠. 그가 입만 열면 흘러나오는 욕은 그저 다른 사람들의 '안녕하세요'나 비슷하다고 봐야 합니다. 선의를 선의로 포장하는 방법을 전혀 모르기 때문입니다.

마음 속 깊은 곳에서는 애도 딸린데다 별다른 기술도 없는 누나를 보살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따뜻한 말을 한다든가 하는 법을 모르기 때문에 돈 뭉치를 건네주고도 "누가 누나야? 너 우리 엄마 알아?"라고 눈을 부릅뜨고 소리치게 되는 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장면에서 참 웃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진한 코미디.>

이렇게 보면 볼수록 이 남자는 미워할 수 없는 남자입니다(심지어 적절한 유머까지 곁들여집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 남자가 하는 일은 사람을 때리고 겁 줘서 밀린 돈을 받아오는 일이라는 겁니다. 이런 시각은 종종 다음과 같은 논리로 연결되곤 합니다. '우범자든, 범죄자든, 알고 보면 나쁜 사람은 하나도 없다. 이들은 모두 사회의 맨 밑바닥에서 살아 보려고 허우적거리는 사람들이다. 그렇다. 정작 나쁜 것은 이 사회다. 이 불공평한 사회가 이 사람들로부터 양심과 윤리를 빼앗아 가고, 손쉬운 범죄의 길로 내몬다.'

좀 위험한 논리입니다. 이런 논리는 가끔 법정에서 범죄자들을 옹호하는 데 사용되곤 하죠. '피고인은 어려서부터 결손가정에서 자라나 주위의 사랑을 받지 못했고, 사회의 보살핌으로부터도 벗어나 있어 비뚤어진 청소년기를 보낸 끝에.....' 뭐 꼭 맞다, 틀리다로 나눌 수 없는 논리이긴 하지만 이런 논리에 가장 억울함을 느끼는 사람들은 비슷하게 어려운 환경에서도 어떻게든 정직하고 규범을 준수하며 살아가려는 사람들입니다.

물론 너무 당연한 얘기라는 건 저도 압니다만, '똥파리'라는 영화가 담고 있는 사실 전달, 혹은 진정성이라는 부분을 너무 지나치게 높이 평가할 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꽤 있다는 면에서 한번쯤 짚어 둬야 할 얘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또 하나, 영화적으로 '똥파리'는 저예산영화일수는 있지만 전혀 실험적이거나 전위적이지 않습니다. '똥파리'가 다루고 있는 이야기, 즉 아주 단순화해서 '한 건달의 내면에 있는 순수 이야기'는 이미 한국의 상업영화들이 수십번 울궈먹은 것입니다. 겉으로는 찌들대로 찌든 삼류 건달이지만 속으로는 가족에 대한 연민과 사랑을 갖고 있는 주인공의 일상을 통해 그의 내면을 조명하는 영화들은 꽤 많이 꼽을 수 있습니다.

'비열한 거리'의 조인성에서 '우아한 세계'의 송강호 사이에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고, '파이란'의 최민식도 이 범주에 넣을 수 있습니다. '초록물고기'의 한석규도 있군요.

다시 말해 '똥파리'는 흔히 독립영화군에 기대하는 '기존의 상업영화들이 다룰 수 없는 신선한 소재나 시각'을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기존의 상업영화들이 다뤄왔던 이야기 사이에서 상당히 영악하고 재미있는 이야기 하나를 끄집어 낸 영화입니다.

물론 이런 점을 단점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겁니다. 특히나 지금처럼 아예 대형 영화들과 똑같이 극장에서 경쟁하는 입장에서, '독립영화의 순수성'을 앞세워 '똥파리의 타락'을 꾸짖을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아무튼 '똥파리'는 그 자체로서 따뜻하고 재미있는 영화입니다. 제작비 50억원짜리 영화들과 똑같은 돈을 내고 봐도 절대 손해라는 느낌은 없을 겁니다. 초반과 중간, 원경을 찍을 때 너무 카메라가 흔들린다는 점만 빼면 저예산 영화 특유의 기술적인 허점도 눈에 띄지 않습니다. 양익준 감독과 '똥파리' 팀이 다음에는 어떤 작품을 내놓을지 자못 기대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s. 이런 장면들을 생각하면 어쩐지 가슴이 뭉클해옵니다. 어쩐지 양익준 감독은 등으로 연기하는 데에도 꽤 재능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양익준 감독이 다른 영화에서 이 상훈 캐릭터를 연기하면 꽤 반응이 있을 듯 한데 그럴 의향이 있는지 모르겠군요.^





+ Recent posts